가장 많이 본 글

2015년 10월 31일 토요일

SKT, CJ헬로비전 인수... 미디어 공룡 탄생 예고

양 사 2일 이사회 열고 인수안 의결 예정

 
 
국내 최대 이동통신업체 SK텔레콤이 케이블TV 1위 업체인 CJ헬로비전을 인수한다.
국내에서 통신업체가 케이블TV 업체를 인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 동안 유료방송 시장에서 존재감이 약했던 SK텔레콤은 이번 합병으로 단숨에 경쟁사인
KT를 위협하는 방송통신 공룡으로 발돋움하게 됐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이날 오전 CJ헬로비전을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인수
규모는 1조원 이상이다.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은 다음달 2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인수안을
의결할 예정이며, 여기서 인수가 확정되면 양 사의 합병 기일은 내년 41일이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SK텔레콤 관계자는 두 회사가 인수 협상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을 아꼈다.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을 인수한 뒤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합병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되면 현재 인터넷(IP)TV 가입자 약 325만명을 두고 있는
SK브로드밴드는 CJ헬로비전의 케이블TV 가입자 420만명을 더해 유료방송 가입자가 총 745
만명에 달할 전망이다. 경쟁업체 KT의 경우 IPTV 가입자 약 640만명에 자회사인
KT스카이라이프 위성 가입자 약 200만명을 합쳐 총 840만여명을 두고 있지만, 업체 단위로
보면 CJ헬로비전을 품은 SK브로드밴드가 단번에 시장 1위로 등극하게 된다.
  
여기에 CJ헬로비전의 알뜰폰(MVN0) 서비스 헬로모바일은 가입자 85만여명을 보유한 업계
1위다. 2위는 80만여명의 가입자를 두고 있는 SK텔레콤 자회사 SK텔링크다. 따라서 이번
인수로 SK텔레콤은 가입자가 170만명에 이르는 대형 알뜰폰 업체로도 올라설 전망이다.
 
단 이번 인수 대상에서 CJ헬로비전의 N스크린 서비스 티빙은 제외됐다. 티빙은 컴퓨터(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여러 대의 기기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동영상 감상이 가능한 N스크린
서비스로, 700만 명의 가입자를 두고 있다. 티빙은 현재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가 콘텐츠를 공급하지 않아서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자체 방송
콘텐츠를 보유한 CJ E&M에 넘기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SK텔레콤이 이 같은 빅딜을 단행한 것은 유선시장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SK텔레콤은 그 동안 이동통신시장에서는 약 50%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해
왔지만 방송을 포함한 유선시장에서는 KT에 밀렸다. 한 때 케이블TV 업계 3위 씨앤앰 인수를
검토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매각 주체인 CJ그룹이 코웨이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인수대금을 마련해야 할 상황이 되자 양 측의 협상이 급물살을 탄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지난 4월 통신업체에서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한 SK텔레콤은 통합 미디어
플랫폼구축에 발판을 마련했다는 분석이다. 당시 SK텔레콤은 양방향 방송 서비스 제공을
통해 2018년까지 유료방송 가입자 1,500만명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앞으로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의 인프라 및 역량을 결집해 안방을 사수한 다음,
방송을 발판으로 상거래나 사물인터넷(IoT) 등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서희기자 shlee@hankookilbo.com
 


2015년 10월 30일 금요일

밥 먹듯이 읽고 숨 쉬듯 기록하라



책벌레와 메모광

정민 지음  문학동네 발행

ㆍ252쪽ㆍ1만5,000원

한문학자 정민(한양대 국문과 교수)는 책을 참 많이도 썼다. ‘18세기 한중 지식인의문예공화국’ 같은 굵직한 학술서
외에 한문으로 된 옛글에서 찾아낸 이야기를 편안하고맛있는 글솜씨로 풀어낸 대중교양서
여러 권은 베스트셀러다. 서 말 구슬을 꿰어 근사한목걸이를 만들 듯 수많은 예화를 언급하며
한 꾸러미로 엮어내는 비결이 뭘까 늘 궁금했는데,이 책을 보니 짐작이 간다. 밥 먹듯이 읽고
숨 쉬듯 기록하기, 오직 이것이다.  ‘책벌레와 메모광’은 한중일 옛 전적에서 찾아낸 작은
편린들로 짠 피륙 같은 책이다.가볍고 부드러워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술술 읽기에 좋다.
작정하고 그리 하진 않았겠으나꽤 실용적이기도 하다. 요즘 세상에도 얼마든지 통할 수 있고
지금 당장 따라해도 좋을 옛사람의 공부법, 독서법이 잔뜩 들어있기 때문이다.  제목대로
책에 미친 책벌레와 기록에 홀린 메모광 이야기다. 짧은 산문을 묶은 이 책은 그가
2012년 7월부터 1년간 동양학 연구의 본산인 하버드 옌칭연구소에 방문학자로서 머무는
동안 이곳 도서관에서 본 한중일 고서적에서 마주친 옛사람들의 자취를 추린 것이다. 한 권의
책에서 그 책을 쓰고 읽었던 옛 사람을 만나고, 그들의 삶과 생각을 상상하며, 오늘에 비추어
본 즐거운 경험을 전달하고 있다.

 
일본판 ‘주역본의통석’의 빼곡한 메모들. 여백에 쓴 붓글씨의 획 굵기는 머리카락의 절반밖에
안 된다. 문학동네 제공

고서에 찍힌 장서인에서 그 책의 내력을 읽어내고, 100년도 더 된 책의 책갈피에 압사당한 채
붙어 있는 모기에서 ‘모기를 증오함’이라는 시를 남긴 다산 정약용을 기억하며 슬며시 웃음을
짓기도 한다. 인쇄본이 드물던 시절, 돈 받고 남 대신 책을 베껴 써주는 용서(傭書)로 생계를
잇던 용서인들의 애처로운 이야기, 밭일을 하다가도 항아리 속에 넣어둔 감 잎에 그때그때
떠오른 생각을 적어두어 기억을 붙잡던 중국 선비의 고사와 이를 본떠 메모집을 만들었던
조선 선비들, 벼루에 얼음이 끼어 녹을 때까지 기다려야 쓸 수 있을 정도로 불기 하나 없이
한겨울 추운 방에서 동상으로 부어 오른 아픈 손가락으로 쉼 없이 책을 읽고 메모를 했던
이덕무의 정열…. 자잘하지만 재미있는 이야기가 수두룩하다.  색인 카드를 작성하듯
메모를 주제별로 갈무리했다가 책으로 완성한 이야기며, 읽은 것을치밀하게 정리하고
발전시키려고 이런저런 방법으로 공부에 매진한 사례 등 이 책에 나오는 예화는
감탄스럽기도 하다. 가장 자주 등장하는 인물은 연암 박지원, 이덕무, 다산 정약용이다.
중국과 일본의 고서 전문가, 옛 지식인도 이야기 속에 자연스레 합류해 풍성함을 더한다.
소품집이지만 그 안에 다채로운 풍경을 펼쳐 놓았다. 정민 식 글쓰기, 그 다작의 힘이 어디서
오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에서 한 수 배울 수 있다.

오미환 선임기자 mhoh@hankookilbo.com

2015년 10월 28일 수요일

테바글로벌-유아동상품 중국수출 500만$ 쾌속성장!

테바글로벌-유아동상품 중국수출 500만$ 쾌속성장!

 

테바글로벌 박영만대표(맨왼쪽)와 임직원들이 활기찬 표정을 짓고 있다(사진제공=토스트앤컴퍼니)
국내 유아용품 관련주가 중국 제18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5중전회) 개막일인 26일 강세를 나타냈다. 오는 29일까지 열리는 이번 5중전회에서 '두 자녀 출산 전면 허용'
카드를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중국의 산아정책이 변경된다면 4년간 약 8000만에 육박하는 영유아 인구의 증가가 예상되며 시장 규모는 동기간 20조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27조원 규모의 새로운 시장이 생긴다는 것이다.
중국 유아용품 시장에 진출한 다른 기업도 동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제로투세븐의
모회사인 매일유업을 비롯해 쌍방울, 보령메디앙스, 삼익악기, 남양유업, 깨끗한나라 등도
오름세다. 중국 내 백화점 600여개를 보유한 최대 유통업체 '랑시'가 최대주주인 아가방
컴퍼니 또한 오름세다.
 
유아용품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들썩이는 가운데 중국유통전문기업 '테바글로벌'(Tabahglobal Inc. 대표 박영만)의 선전 소식도 들려온다.
 
테바글로벌은 중국 화인문화그룹(華人文化集团, 총재 지푸탕 季福堂 www.chccg.com)으로부터 20억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한 한·중 합자회사로 작년 12월 출범한 후 지난 61
중국에서 수입 유아동 용품 포털 플랫폼인 '맘스베베닷컴'(www.momsbebe.com)을 정식
론칭한 바 있다.
 
중국인을 대상으로하는 유아동용품 수입몰인 '맘스베베닷컴'은 한국을 비롯해 독일, 호주 등 세계 7개국 120여개 기업, 260여개 브랜드, 11,000여종의 유아동 관련 상품을 직접 수입해 중국시장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판매하는 카테고리킬러다.
 
테바글로벌은 상해자유무역구에 중국법인(上海靓娃国际贸易有限公司)를 설립하고 8월부터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했으며, 현재 연말까지 징동상청, 무잉즈자, 베베슝 등 주요 업체로부터 500만불의 유아동상품의 중국 수출 오더를 확보한 상태이다.
 
국내 유명 유아동 브랜드인 '프라젠트라', '내이브로', '유니프랜드', '보네스트 베네스트',
'프라하우스' 등이 입점되어 있고, 세계적 명성을 자랑하는 '세이프티퍼스트', 'gb',
'리틀라이프' '압타밀'(Aptamil), '내츄럴매트'(Naturalmat), '에스티비 히구찌'(STB HIGUCHI) 등의 상품도 취급한다.
 
최근에는 릴팡, 아가애, 위니치 등 국내 유아동 전문 중소기업들도 입점을 완료했다. 특히,
중소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국산 캐릭터 상품에 대한 중국 내 반응이 좋아 테바글로벌과 함께
동반 매출 신장 중이다.
 
테바글로벌이 급성장하게 된 주요 요인은 JD.Com(징동상청), 무잉즈자, 베베슝 등 중국의
주요 메이저 온라인쇼핑몰과 대형 프렌차이즈 매장에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가격 경쟁력과
전문적인 소싱 능력에 있다.
 
테바글로벌은 국내에서 상품을 구입해 중국 현지의 판매대리상을 통하지 않고 직접
대형쇼핑몰을 상대로 영업을 한다. 일반적으로 중국으로 수출되는 상품들이 중국총판 및
판매대리상, 무역관련회사 등을 거쳐 유통하는 것에 반해 유통단계를 절반으로 축소시켜
가격 경쟁력을 키우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테바글로벌 박영만대표는 "연평균 자녀 양육비 증가율 12.7%를 적용하면 4년차까지 매년 31조원, 25조원, 22조원의 유아용품 시장이 탄생한다""자체플랫폼인 momsbebe.com도 현재 중국 영유아들을 위한 전문 수입 직구몰로 인기몰이 중이어서 빠른 시일 내에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수입 영유아 플랫폼중에 하나가 될 것이다"고 자신했다.
 
이호형 기자 leemario@sporbiz.co.kr

2015년 10월 27일 화요일

단돈 천원으로 후원을 할 수 있다고? 크라우드 펀딩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소개, 한글, 새로움을 입고 작품이 되다

삼성카드, 터치형 NFC 간편결제 서비스 연내 출시

삼성카드는 한국NFC·KG이니시스와 업무제휴를 맺고 터치형 NFC(근거리 무선통신) 결제
서비스를 연내 출시한다.
 
이 서비스는 모바일 결제를 할 때 휴대전화에 신용카드를 갖다대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결제가 되도록 하는 서비스로, 모바일 쇼핑에 익숙지 않은 고객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삼성카드 측은 설명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정부의 핀테크 육성정책에 발맞춰,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과 협업을 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핀테크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서연 기자 brainysy@sporbiz.co.kr